인니, 석탄화력 단계적 폐지 방침 철회…새 발전소 짓기로
짧은주소
- - 게시글 링크복사:
본문
에너지 장관 "석탄은 금기 자원 아냐…탄소 포집 기술 사용해 배출 감축"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인 인도네시아가 단계적으로 석탄 발전소를 폐쇄하겠다는 계획을 사실상 철회했다.
27일 인도네시아 경제지 비스니스(bisnis)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는 2034년 말까지 2천967조 루피아(약 249조5천억원)를 투자해 69.5 기가와트(GW)의 전력 용량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206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 '제로'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 전력의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하겠지만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도 예상된다며 추가 전력 중 10.3GW는 가스 발전소에서, 6.3GW는 석탄 발전소에서 얻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흘릴 라하달리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은 "석탄은 금기시돼야 할 자원이 아니다"라며 "필요하다면 사용하는 것도 괜찮다"고 말했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전체 발전 설비용량은 90GW로 이 중 60%를 석탄화력발전소에서 공급받는다.
2021년 인도네시아는 석탄 발전소를 점진적으로 폐쇄하겠다며, 당시 건설 중인 프로젝트만 완공되면 이후 신규 석탄 발전소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당시 기준으로 마지막 석탄 발전소는 2027년에 가동을 시작해 2056년에는 모든 석탄 발전소를 폐쇄할 예정이었다.
이에 맞춰 화석 에너지 사용 감축을 위한 기후금융 협약인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ETP)을 통해 석탄 화력 발전소 조기 폐쇄를 위한 금융 지원도 받기로 했다.
JETP는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펀드로 규모는 200억 달러(약 27조3천억원) 수준이다.
하지만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JETP를 탈퇴해 동력이 크게 떨어진 상황이다.
바흘릴 장관은 석탄 발전소 조기 폐쇄 계획에 대해 "만약 누군가 자금을 저금리로 제공한다면 나는 조기 폐쇄를 허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석탄이 신뢰할 수 있는 기저 발전 전력원이라며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탄소 포집 기술을 사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또 수마트라와 칼리만탄 지역에 0.5GW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도 건설할 계획이라며 첫 원자로는 2032년에 가동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재생에너지 전력을 수요가 높은 지역에 공급하기 위해 총 4만7천758㎞ 길이의 송전망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laecorp@yna.co.kr